







| ·출발일 | 11월23일(일), 11월29일(토) - 단2회출발 |
|---|---|
| ·여행기간 | 당일 |
| ·적립포인트 | 140 point (예약 1건당 1회 적립) |
| ·최소출발인원 | 20명 |
| ·모이는 장소 | 출발 20분 전 서울역 3층 인생네컷 옆 안내직원 미팅 |
식 사 |
|
|
|---|---|---|
|
08:30 |
출발 20분전 서울역 3층 인생네컷 옆 안내직원 미팅
|
KTX이음 705 |
08:57 |
서울역 출발 - 09:18 청량리역 출발 |
|
11:19 |
안동역 도착
|
연계차량 |
11:30 |
연계차량 탑승 후 중식지로 이동 |
|
11:50 |
중식제공 (지역 로컬 맛집! 안동손국수+파전) |
|
13:10 |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한국의 서원! 도산서원 - 퇴계 이황 선생의 가르침이 남아있는 곳 - 퇴계 선생이 몸소 거처 하면서 제자를 가르치던 곳 - 2019년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도산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상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된다.
도산서당은 퇴계 선생이 직접 거처하며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퇴계 선생 사후에 건립된 사당과 서원이다. 도산서당은 1561년(명종 16년), 퇴계 선생이 낙향한 뒤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을 위해 세운 곳으로, 서원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퇴계 선생이 직접 설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때 유생들의 기숙사 역할을 한 농운정사와 부전교당 속시설인 하고 직사(下庫直舍)도 함께 지어졌다. 도산서원은 퇴계 선생 사후 6년 뒤인 1576년(선조 9년)에 완공되었다. 1570년 퇴계 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1572년에 선생의 위패를 상덕사에 모시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2년 뒤, 지방 유림의 뜻을 모아 사당을 건립하여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전교당과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다. 1575년(선조 8년)에는 한석봉이 쓴 『도산서원』 편액을 하사받아 사액(賜額) 서원이 되었고, 이로써 영남 유학의 총본산 역할을 하게 되었다. 1615년(광해군 7년)에는 사림이 조목(趙穆)을 종향(從享)하였으며, 1792년(정조 16년) 정조 임금이 치제(致祭)를 내리고 도산별과(陶山別科)를 시행하였다. 1796년(정조 20년)에는 시사단(試士壇)을 세웠고, 1819년(순조 19년)에는 장서고(藏書庫)인 동광명실(東光明室)이 건립되었다. 1870년(고종 7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도 제외되었으며, 1930년(경오년)에는 서광명실(西光明室)을 중건하였고, 1932년(임신년)에는 하고 직사(下庫直舍)를 이전하였다. 1969년, 본 서원을 중심으로 임야 및 전답 19필지(324,945㎡)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1970년부터 대통령령으로 보수·증축 사업이 진행되어 우리나라 유학 사상의 정신적 고향으로 성역화되었다. 1977년에는 도산서원관리사무소가 설치되었으며, 관리·운영 조례를 제정·공포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예능 <나는 솔로> 16기 출연진이 한복을 입고 랜덤으로 파트너를 매칭한 장소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옷 색깔로 파트너가 정해질 때마다 시청자들이 대리 설렘과 긴장감을 느낀 장소이기도 하다. 인근에 조성된 둘레길을 따라 걸으면 서당 내부 뿐만 아니라 왕버들, 시사단 등 서원의 다양한 명물을 만날 수 있다. |
| 14:40 |
봉정사로 이동 |
|
|
15:20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산사! 봉정사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극락전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목조건물이 나란히 있는 곳 - 1,300년 우리불교문화를 계승하고 지켜온 종합 승원 - 2018년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
17:00 |
안동 재래시장으로 이동 |
|
17:20 |
안동 재래시장 자유시간 및 자유식사 - 안동의 대표 먹거리 찜닭 골목이 있는 곳 ※ 지역사랑 상품권 5,000원 제공 |
|
18:40 |
안동역 이동 |
KTX이음 782 |
19:02 |
안동역 출발 |
|
20:56 |
청량리역 도착 |
여행코스 |
안동역→중식→도산서원→봉정사→재래시장→안동역 |
|---|---|
포함내역 |
왕복열차비, 연계차량비, 중식, 입장료, 안내비 |
불포함내역 |
기타 개인경비, 여행자보험 등 |
식 사 |
|
|
|---|---|---|
|
08:30 |
출발 20분전 서울역 3층 인생네컷 옆 안내직원 미팅
|
KTX이음 705 |
08:57 |
서울역 출발 - 09:18 청량리역 출발 |
|
11:19 |
안동역 도착
|
연계차량 |
11:30 |
연계차량 탑승 후 중식지로 이동 |
|
11:50 |
중식제공 (지역 로컬 맛집! 안동손국수+파전) |
|
13:10 |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한국의 서원! 도산서원 - 퇴계 이황 선생의 가르침이 남아있는 곳 - 퇴계 선생이 몸소 거처 하면서 제자를 가르치던 곳 - 2019년 한국의 서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도산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상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된다.
도산서당은 퇴계 선생이 직접 거처하며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퇴계 선생 사후에 건립된 사당과 서원이다. 도산서당은 1561년(명종 16년), 퇴계 선생이 낙향한 뒤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을 위해 세운 곳으로, 서원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며 퇴계 선생이 직접 설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때 유생들의 기숙사 역할을 한 농운정사와 부전교당 속시설인 하고 직사(下庫直舍)도 함께 지어졌다. 도산서원은 퇴계 선생 사후 6년 뒤인 1576년(선조 9년)에 완공되었다. 1570년 퇴계 선생이 세상을 떠나자, 1572년에 선생의 위패를 상덕사에 모시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2년 뒤, 지방 유림의 뜻을 모아 사당을 건립하여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전교당과 동·서재를 지어 서원으로 완성했다. 1575년(선조 8년)에는 한석봉이 쓴 『도산서원』 편액을 하사받아 사액(賜額) 서원이 되었고, 이로써 영남 유학의 총본산 역할을 하게 되었다. 1615년(광해군 7년)에는 사림이 조목(趙穆)을 종향(從享)하였으며, 1792년(정조 16년) 정조 임금이 치제(致祭)를 내리고 도산별과(陶山別科)를 시행하였다. 1796년(정조 20년)에는 시사단(試士壇)을 세웠고, 1819년(순조 19년)에는 장서고(藏書庫)인 동광명실(東光明室)이 건립되었다. 1870년(고종 7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도 제외되었으며, 1930년(경오년)에는 서광명실(西光明室)을 중건하였고, 1932년(임신년)에는 하고 직사(下庫直舍)를 이전하였다. 1969년, 본 서원을 중심으로 임야 및 전답 19필지(324,945㎡)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1970년부터 대통령령으로 보수·증축 사업이 진행되어 우리나라 유학 사상의 정신적 고향으로 성역화되었다. 1977년에는 도산서원관리사무소가 설치되었으며, 관리·운영 조례를 제정·공포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예능 <나는 솔로> 16기 출연진이 한복을 입고 랜덤으로 파트너를 매칭한 장소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옷 색깔로 파트너가 정해질 때마다 시청자들이 대리 설렘과 긴장감을 느낀 장소이기도 하다. 인근에 조성된 둘레길을 따라 걸으면 서당 내부 뿐만 아니라 왕버들, 시사단 등 서원의 다양한 명물을 만날 수 있다. |
| 14:40 |
봉정사로 이동 |
|
|
15:20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산사! 봉정사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극락전 -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목조건물이 나란히 있는 곳 - 1,300년 우리불교문화를 계승하고 지켜온 종합 승원 - 2018년 한국의 산지승원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
17:00 |
안동 재래시장으로 이동 |
|
17:20 |
안동 재래시장 자유시간 및 자유식사 - 안동의 대표 먹거리 찜닭 골목이 있는 곳 ※ 지역사랑 상품권 5,000원 제공 |
|
18:40 |
안동역 이동 |
KTX이음 782 |
19:02 |
안동역 출발 |
|
20:56 |
청량리역 도착 |
예금주 : 해밀여행사

